• 2023. 7. 13.

    by. wyhan

    반응형

    리딩으로 리드하라 - 저자 이지성

    최첨단 분야인 IT를 오래 하다 보니...

    핑계이지만... 자연스럽게 인문학 서적을 읽을 기회가 없었습니다.

     

    저의 짧은 생각에... 매일매일 엄청난 속도로 변화하고 시시각각 새로운 정보가 쏟아지는 환경이다 보니

    지난 시간들은 정보의 홍수 속에 파묻혀 지낸 셈이었습니다.

     

    독서를 시작해야겠다고 마음먹었을 때 어떤 인문학 책을 읽을까 생각 중에

    '리딩으로 리드하라' 책을 만났습니다.

     

    리딩으로 리드하라

     

    당시 인문학 열풍이 불고 있는 가운데 우연히 저자의 인터뷰 동영상을 보게 되었던 것도

    선택의 이유였습니다.

     

    세상을 지배하는 0.1% 의 인문고전 독서법

     

    책이 발행된 이후 과거에 수많은 책이 발행되었고,

    또 현재에도 책은 매년 수만 권... 아니 수십만 권의 책이 발행되고 있습니다.

    고전은 수많은 사람들의 검증을 통해 수백 년 수천 년 이상 살아남은 책이다.
    그래서 더욱 가치가 있다.

    이중 과연 몇 권의 책이 100년 이상, 또 1000년 후에도 읽힐 것인가...

     

    2023.07.11 - [독서] - 3. 48분 기적의 독서법

     

    리딩으로 리드하라 중에서...

     

    저자 이지성...

    2015년 '생각하는 인문학'으로 데뷔, 

    다양한 분야의 약 30권 이상의 책을 출간했으며, 그중 많은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그중에는 '여자처럼 힐러리처럼', '꿈꾸는 다락방', '생각하는 인문학' 등이 대표작이다. 

     

    왜? 인문고전을 읽어야 하나?

    미국의 백인 지배계급은 흑인 노예 계급에게 인문고전 독서는 물론이고 문자 교육 자체를 금지했다. 이는 농노에게 글을 가르치면 죽지 않을 만큼 매질하고 감옥에 가둔 유럽 및 러시아의 지배 계급에게 배운 것이다. 

    21세기 지구의 지배계급이라고 할 수 있는 선진국들과 지배를 당하는 계급이라고  할 수 있는 후진국들을 보면 확연히 문맹률의 차이가 보인다. 후진국일수록 문맹률이 높다. 이는 지배계급 즉 선진국의 '의도'가 아닐 수 없다. 

     

    한때 세계 어느 나라 못지않게 인문고전을 사랑했던 우리나라의 실정은 어떠한가?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시스템에는 인문고전에 대한 부분은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왜 이런 현상이 생겼을까?

    당신이 받은 학교 교육과
    지금 우리나라 십 대들 이 받고 있는 학교 교육은
    직업 군인과 공장 노동자 양산이 목적이었던 교육 시스템에 뿌리를 두고 있다. 

    미국의 부자들의 자녀들은 사립학교를 다니고, 가난한 사람들의 자녀들은 공립학교에 다닌다. 

    우리나라에 적용된 교육시스템은 바로 미국의 가난한 사람들의 자녀들이 다니는 공립학교 시스템이 정착하게 된 것이다. 

     

    미국의 세인트존스 대학은 4년 내내 인문고전 100권을 읽고 토론하고 에세이를 쓰는 게 교육과정의 전부이다. 

    시카고 대학의 경우는 인문고전 100권을 달달 외울 정도로 읽지 않은 학생은 졸업시키지 않는 '시카고 플랜'이 시작된 1929년부터 2000년까지 노벨상 수상자를 68명 배출을 하였다.

     

    그나마 최근에 깨어있는 사람들이 인문고전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이전보다는 관심을 갖고

    읽으려는 노력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을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2023.07.08 - [독서] - 2. 역행자

     

    왜? 리더들은 인문학을 읽을까...

    이 책의 제목처럼 전 세계 리더들이 왜 인문학을 읽고 공부하는지 알려주고 있다. 

     

    소크라테스와 점심을 먹을 수 있다면 애플이 가지고 있는 모든 기술을 포기할 수 있다.
    - 스티브 잡스

     

    에서와 같이 현재 세계 최고 기업이 애플의 성공 바탕에는 '스티브 잡스'의 인문학에 대한 관심과 열정이

    깔려있는 때문이기도 하다.

     

    그 외에도 빌 게이츠, 이건희, 정주영 등 수많은 리더들은 이미 인문학의 중요성을 일찍이 깨닫고 있었다.

     

    만일 앞으로 10년 동안 매일 두 시간 이상 위대한 인문고전을 남긴 진짜 천재들에게 개인지도를 받는다면, 나는 어떻게 될까?

    인문고전은 인류의 역사를 새로 쓴 진정한 천재들이 자신의 모든 정수를 담아놓은 책이다.
    아인슈타인, 레오나르도 다빈치, 존 스튜어트 밀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그 정수를 완벽하게 소화하면 누구나 다음 세 가지 중 하나를 경험할 수 있다.
       1. 바보 또는 바보에 준하는 두뇌가 서서히 천재의 두뇌로 바뀌기 시작한다.
       2. 그동안 억눌려 있던 천재성이 빛을 발하기 시작한다.
       3. 평범한 생각밖에 할 줄 모르던 두뇌가 천재적인 사고를 하기 시작한다. 

    2023.07.06 - [독서] - 1. 세이노의 가르침

     

    1. 세이노의 가르침

    세이노의 가르침 '세이노의 가르침'의 저자는 천억 원대 자산가로 알려진 필명이 '세이노'라는 분입니다. 이 책은 저자인 세이노님이 2000년부터 발표한 여러 글들을 모아 독자들이 자발적으로

    blog1.smart-is.co.kr

     

    인문학 공부방법...

    과연 이렇듯 중요하고 필요한 인문고전 독서는 어떻게 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일까?

    구체적인 인문고전 공부 방법
    1. 통독하게 하라.
    2. 정독하게 하라.
    3. 필사하게 하라.
    4. 사색하게 하라. (자신만의 의견을 갖게 하라.)
    5. 토론하게 하라

    2023.07.05 - [독서] - 독서 리뷰를 시작하며...

     

    마무리하며...

    '리딩으로 리드하라'는 인문고전 독서를 왜? 해야 하는지 와 인문고전 독서의 필요성

    그리고 인문고전 독서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1년에 책을 단 1권도 읽지 않는다는 성인들이 50%에 달하고 있다.

    그리고 책을 읽는 분들도 1년 평균 독서량이 4.5권 정도이니 어쩌면 우리는

    학교를 졸업하면서 배움은 끝이라는 생각을 하였는지도 모른다.

     

    그런데 현재 우리는 100세 시대에 살고 있다.

    이미 한 가지 직업으로는 평생살수 없으며 2, 3가지 아니 그 이상의 직업을 통해 삶을 

    살아가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어쩌면 우리는 살아가는 동안 평생 배우며 살아가야 하는 시대에 살게 될지도 모른다. 

    아니 이미 그런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우리 모두 인문학을 통해 좀 더 풍성한 마음의 양식을 받고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를 얻으며

    미래를 보는 통찰력을 가질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을 가져봅니다. 

     

    2023.04.13 - [돈 되는 정보] - 재테크를 통한 미래 설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