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7. 23.

    by. wyhan

    반응형

    꿈의 해석 들어가기

    최근에는 꿈을 거의 꾸지 않는데 간혹 꿈을 꾸어도 금방 잊어버리곤 합니다.

    우리는 꿈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듣습니다.

    누군가는 미래에 일어날 일들을 꿈을 통해 본다는 예지몽을 꾸는 사람도 있고

    누군가의 임신을 알려준다는 태몽... 등등

     

    꿈의 해석 by 지그문트 프로이트

    이 책은 저자 프로이트의 가장 유명한 저서이기도 하며 우리가 꾸는 꿈들에 대한 원리와 해석을 알려주는 책입니다. 

    프로이트는 꿈은 무의미하고 혼란스러워 보이지만 사실상 의미가 있다고 주장을 하며 이 꿈을 분석해서 알려주는 첫번째 책 이기도 합니다.

    2023.07.16 - [독서] - 9. 프로이트, 인생에 답하다 by 이병욱

     

    저자는 무의식에 있는 인간의 성적욕망이 꿈에서 투영과 왜곡을 통해 실현되어 나타난다고 보았습니다.

    저자 본인이 꾼 꿈을 소개하며 분석했고 스스로의 욕망이 무의식에서 억압된 탓에 꿈을 꾼다고 생각하였으며 한편으로는 지나치게 꿈해석을 성적인 요소로만 분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프로이트는 자기 삶의 주인이고자 암 등 병마에 시달리다가 83세에 결국 안락사를 선택하였습니다.  

     

    2023.07.15 - [독서] - 7. 스티브잡스의 창조 카리스마 by 김영한

     

    꿈의 해석 중에서...

    꿈은 잠자고 있는 사람의 정신활동이다.

     

    고대 철학자들의 꿈에 대한 판단...
    1. 미래를 예시해주는 기능으로서 귀중하다고 여겨지는 꿈
    2. 무의미한 미혹과 파멸로 이끄는 공허하고 헛된 꿈

     

    무의식은 노력한다고 기억해 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무의식은 망각된 기억이 아니라 절대 잊히지 않는 억압된 표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의식화가 불가능하다는 의미에서 무의식이다. 
    무의식은 우리 의식에 위장 변형된 모습으로만 드러나 그 존재를 추론할 수밖에 없는 어떤 것이다. 그 무의식의 형성물로서, 위장, 변형된 모습으로 드러나는 것, 그게 바로 꿈이다. 

    2023.07.11 - [독서] - 3. 48분 기적의 독서법 by 김병완

    꿈을 꾼 당사자가 꿈의 내용과 배후의 무의식적 사고를 알려주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우리는 다른 사람의 꿈을 해석할 수 없다. 
    육체적 고통으로 나타나는 그것의 원인은 다름 아닌 기억에 있다. 고통을 야기한 것은 어떤 사건, 즉 트라우마라고 생각하지만 '히스테리 환자는 기억 때문에 괴로워한다. '트라우마로.'트라우마로 인한 '기억' 이 반복적으로 출몰하면서 고통을 야기하는 것이다. 정확히 말하면 그 기억 뒤의 알 수 없는 기억 - 무의식적 기억 -에서 고통이 비롯된다. 
    무의식에 처음 기록되는 지각은 바로 최초의 충족체험으로부터 오는 지각 경험이다. 

     

    꿈과 현실은 긴밀히 연결되며, 꿈의 내용은 우리의 체험에서 비롯된 것

     

    과연 꿈의 가치는 미래를 예견하는 있는 것인가?

    물론 그렇지 않을 것이다. 대신 꿈은 과거를 알려준다고 보는 편이 더 정확하다. 어떤 의미에서 든 꿈은 과거를 가리키고 있다.

     

    사소한 것이었던 그 요소들은 그것들이 전이됨으로써
    정신적으로 중요한 자료적 가지를 지니게 된 뒤부터 이미 사소한 것이 아니게 된다. 

    우리가 중요하다고 의식하지 못하고 지나친 어떤 기억들이 사실은 중요한 부분이기에 무의식적으로 우리의 기억속에 전이되어 무의식의 세계인 꿈에서 나타난다.

     

    2023.07.20 - [독서] - 10. 꿈꾸는 다락방 2 by 이지성

     

     

    마무리하며...

    프로이트에게 '꿈' 은 무의식에 접근하는 주요 과정이요 열쇠이다.

    프로이트가 했던 것처럼 히스테리와 노이로제 등 심적인 병들을 무의식을 통하여 치료하는 사례가 많음을 최신의학에서도 많이 보고 있다. 

    물론 모든 꿈이 프로이트가 얘기한 것으로 해석할 수도 판단할 수도 없는 부분이 많다. 

    하지만 꿈과 인간의 무의식 등 정신분석의 영역의 길을 열었다는 부분에서는 그의 공적을 높이 살만하다 하겠다.

    2023.07.08 - [독서] - 2. 역행자 by 자청

     

     그러므로 이 책 '꿈의 해석' 은 개인의 기억에 상당부분 의존되고 왜곡되기 쉬우며 또 실증할 수 없는 여러가지 한계에도 불구하고 심도 깊게 해석하고 인간의 무의식에 대해 충분히 가치 있는 접근을 했다고 생각되어 충분의 의미 있는 작품이라 할 만하다. 

     

    예전에 영성 공부를 할 때 들었던 부분 중에 각자의 무의식속에는 상처받은 어린아이가(각자의 어렸을 때 기억들)있어 현재 생활을 할 때에도 그 영향을 받을 수 있고 평생을 힘들게 사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었다.

     

    이 책 에서와 같이 무의식의 부분은 우리의 의식을 강력하게 통제하기도 하는 부분에서 더욱 많이 연구되고 밝혀져야 될 부분이 많은 것 같다. 

     

    2023.07.06 - [독서] - 1. 세이노의 가르침 by 세이노

     

     

     

     

     

    반응형